반응형



몸짓으로 사람의 마음을 읽기 위한 7계명

1) 보지말고 관찰하라
2) 본능이 드러나는 불변의 보디 랭귀지를 기억하라
    - 입술이 보이지 않을정도로 입을 굳게 다무는 것은 어떤 어려움에 처했음을 나타낸다
3) 특별한 상황에서만 나타나는 행동을 파악하라
4) 평상시 모습을 기억하라
   - 누군가 처음 만나 관계가 시작되는 그 시점부터 그 사람의 기준행동을 알아차려야 한다.
5) 갑작스런 행동의 변화에 주목하라
   - 콧구멍 팽창은 어떤 행동을 하기에 앞서 호흡을 가다듬고 있음을 나타낸다.
6) 편안한 상태와 불편한 상태를 구별하라.
7) 당신이 관찰하는 것을 상대가 모르게 하라


뇌의 구조
신피질 : 인간에게 계산하고 분석하고 해석하고 직관하는 능력을 부여하는 뇌
             거짓말 하는 뇌
변연계 : 상황이나 환경에 대해 생각 없이 반사적이고 순간적으로 반응. 비언어적 행동, 통제하기 어렵다.

인간을 지키는 3단계 생존 메커니즘
생존을 확보하기위해 뇌에서 즉각 취하는 반응 세가지
1. 정지
2. 도망
3. 투쟁

1. 정지 : 위험하면 멈춰라
              - 노출을 줄임으로써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함
              - 다리를 꼬거나 의자다리에 걸쳐 안전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사람들은 뭔가 불편해 하는 것
어깨를 귀쪽으로 올리는 거북이 효과는 자존심이 상하거나 갑자기 자신감을 잃었을때

2. 도망 : 멈춰서 해결되지 않을 때 도망쳐라
의견이 일치하지 않거나 상대방을 불편하게 느끼면 몸을 약간 멀리 거리를 둔다

              - 눈을 가리거나 비비는 형태
              - 손으로 얼굴을 가리는 형태
              - 몸을 기울여 약간 거리를 두는 것
              - 무릎에 지갑같은 물건을 올려 놓는 것
              - 출입구 가장 가까운 곳으로 다리를 돌리는 것
눈을 가리는 행동은 불신, 그리고 의견 차이를 강력하게 보여주는 도망반응 중 하나이다

3. 투쟁 : 도망칠 수 없다면 싸워라

              - 모욕, 인신공격성 발언, 반증, 직업적인 명예훼손, 몰아세우기, 빈정거림의 형태
              - 한대 때리기
              - 다리로 차기
              - 입으로 물기
              - 눈을 부라리기
              - 인상을 찌푸려 위협을 가함
처음부터 공격적인 전략을 쓸 경우 감정이 혼란스러워지면서 위협적인 상황을 냉철하고 명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

*. 비 언어 행동을 연구하는 이유 : 누군가 물리적으로 해를 가하려 할 때 그 조짐을 미리 파악해 대응하기 위함

거짓말이 의심되면 상대방의 목을 봐라

천돌을 가리는 행동은 불안감, 불편한 감정, 두려움, 걱정을 완화시켜준다.
목걸이를 만지작 거리는 것도 같은 이유이다.
목을 만지거나 쓰다듬는 행동 : 스트레스에 반응할 때 가장 자주 나타나는 진정시키는 행동
                                             대개 괴롭다거나 위협을 느낀다거나 불안하다거나 무서워 하는것
                                             거짓말을 하거나 중요한 정보를 숨길 때 탐지되는 행동

초초할 때 나타나는 대표적인 행동

진정시키는 행동의 형태 : 목을 만지거나 얼굴을 쓰다듬고 머리카락을 만진다
                                      입 안에서 혀로 볼 안쪽을 문지르거나 입술을 핥거나 볼을 부풀린채 숨쉬기

 
이마를 문지르는 것은 보통 그 사람이 뭔가와 씨름하고 있거나 심한 불편함을 애써 무시하고자 함을 보여주는 표시

볼이나 얼굴에 손 대는 것 : 초조하거나 화가 났거나 걱정될 때 진정시키는 방법
볼을 부풀리고 숨쉬기 : 스트레스를 방출하고 진정시키는 방법

남성은 대개 얼굴에 손대는 것을 좋아하는 반면 여성은 목, 옷, 액세서리, 팔 그리고 머리를 만지는 것을 선호
불안감이나 불편함을 다루기 위해 남성은 흔히 넥타이를 바로 잡는다


남자와 여자는 스트레스 해소 방법이 다르다


남자 : 손으로 턱 바로 아래 목을 잡거나 감싸서 목의 신경을 자극(심장 박동을 늦추고 진정 시키는 효과)
여자 : 목에 손을 대거나 목을 비비거나 목걸이를 만지작거림
          임신 중인 여자는 처음에 목 쪽으로 갔던 손이 나중에는 배 쪽으로 옮겨간다.
          오른손을 목에 댄다면 대개는 왼손으로 오른쪽 팔꿈치를 감싼다.
          스트레스 받는 상황이 끝나거나 휴식시간이 있다면 오른손이 내려와 왼팔을 교차해 잡는다


손으로 무릎을 미끄러뜨리는 것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행동, 긴장감
다리를 문지르는 행동을 할 때 팔의 위쪽과 어깨가 함께 움직인다.

스트레스가 클수록 얼굴이나 목을 만지는 정도가 더 심해진다.

얼굴표정


찌푸린이마 : 불안하거나 슬프거나 집중하고 있거나 걱정스럽거나 당황했거나 화가 났을때
콧구멍 팽창 : 자극 받았음. 성적 냄새를 흡수할 때 무의식적으로 이런 행동을 함
                    뭔가 하려는 강력한 의도를 보여주는데 반드시 성적인 행동은 아니다
                    신체적으로 어떤 행동을 하기전에 호흡을 가다듬으며 콧구멍을 벌렁거리게 됨
손톱 물어뜯기 : 확신이 부족하다. 불안하다




개인의 영역은 곧 권력 : 가능한 많은 자리를 차지하는 것
                                   회의석상에서 팔꿈치를 허리에 대고 팔을 다리 사이에 축 늘어뜨린채 앉아 있는 사람은 약하고 확신이 부족하다는 메시지를 내보인다

부정적인 상황에서 팔의 위치 : 인사할때 팔의 윗부분을 옆구리에 바짝 붙이고 팔꿈치 아래쪽만 뻗어 악수(무의식적으로 좋아하지 않을때)



다리

발에서 머리로 이동할 수록 진실성이 감소한다.

발을 흔든다면 흥분했다는 것
대화도중 대화가 못마땅하면 바의 방향이 출구를 향하고 있다.


여성의 경우 상대방에게 편안함을 느끼면 종종 자신의 구두를 만지작거리거나 발가락 끝에 구두를 걸고 흔드는 경향
여성이 구두놀이를 멈추고 구두를 제대로 신고 나아가 몸을 살짝 돌리고 핸드백을 집어 든다면 삼진아웃





거짓말탐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