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새 영역으로 들어가기의 의미

◑ 새 영역으로 들어가기 기술이 꼭 필요한 이유

첫째 새 영역으로 들어가지 않으면 코칭이 지루해지거나 결과가 뻔히 예측이 되어서 코칭받는 것의 매력을 잃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는 대부분의 내담자들이 새 영역으로 인도받기를 원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은 대부분 생각하고 경험하는 것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새로운 생각을 하고, 새로운 영역에 들어가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 코칭의 진정한 매력은 내담자가 코치를 만나고 나서 새로운 생각을 하고,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찾는 것.

초보코치와 마스터 코치의 가장 큰 차이점은 성과에 집중하느냐 인식의 변화에 집중하느냐 입니다. 지금 당장 문제해결에 매달리지 않아도 내담자의 인식이 확장되면 내담자 스스로 뛰어난 답을 발견합니다. 이것이 내담자를 변화로 이끌어 주는 힘입니다. 그러므로 당면한 코칭주제를 다루어나갈 때 그 주제와 관련해서, 혹은 그 주제를 벗어나서 새 영역을 생각해보도록 하고, 그 영역으로 초대하는 것은 굉장히 중요한 코칭 과정입니다.


◑ 새 영역으로 들어간다는 것은 사고를 확장 시키는 것이라고 했는데, 이것을 위해서는 두 가지 접근이 필요합니다.

⇒ 첫 째는 새로운 개념, 새로운 원리, 새로운 구별점들을 생각해보게 하는 것입니다.

⇒ 두 번째는 새로운 모델, 새로운 행동 양식을 시도하도록 초대하고, 새로운 목표나 결과를 찾아보도록 초대하는 것입니다.


◑ 새 영역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크게 다음과 같은 부분에서 생각해보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 첫째는 영역입니다. 새로운 에너지가 분출될 수 있는 영역이 어디인지를 묻는 것입니다.

⇒ 둘째는 능력입니다. 그 새 에너지가 분출되기 위해 구사할 수 있는 새로운 전략이나 기술을 묻는 것입니다.

⇒ 세 번째는 환경입니다. 새로운 전략을 구사하기 위해 조성하기위해 즉 오늘 할 수 있는 것에 대해 묻는 것입니다.


◑ 새 영역으로 들어가기는 호기심을 가지고 항해하기와 비슷하지만 차이점이 있습니다. 호기심은 그냥 뚜껑을 여는 것인데, 새 영역은 단계 단계 밟아가는 것입니다. 호기심은 과거와 미래까지 다 포함하는 반면, 새 영역은 미래에 초점을 맞춥니다. 호기심은 특별히 방향을 설정하지 않고 자유롭게 항해하는 것이라면, 새 영역은 새로운 생각이나 패턴을 개발하기 위해 한 방향으로 항해하는 것입니다.


데모코칭

은퇴 계획은?

 ☞ 은퇴는 없다

평생 에너지를 불어 넣고 싶은 것이 있다면?

 ☞ 공교육을 정상화하고 인격을 발달시키는 전국 강연

어느 정도 영향력이면 만족

 ☞ 70세가 된다면 파생적으로 많은 영향력 행사

그 에너지를 분출시키는 영역이 있다면?

 ☞ 교육, 전국적 지지자들이 생기고 사업화 네트웍

네트웍은 구상 혹은 지금 생각?

 ☞ 구상

하나 더 생각하는 것이 있다면?

 ☞ 학교 운영의 체인화.

구체적으로 많이 생각한 것 같은데 지금 준비할 것이 있다면?

 ☞ 책을 준비하고 경제적 활동을 할 수 있는 것.

질문을 받고 무엇이 좋았나?

 ☞ 생각만 했는데 질문을 하니 에너지가 쏟는다. 도전감이 생김.

그 과제가 이루어야 할 새로운 영역으로 보임?

 ☞ 새로운 개념의 영역. 맞아요. 그런 것 같아요.

 
▣ 기본질문

A. 미래 관점

1) 새롭게 경험하고 싶은 것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2) 어떤 기준이 되면 만족하시겠습니까?

3) 그것을 이룰 수 있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B. 과거 관점

1) 요즘 새롭게 경험한 것이 있습니까?

2) 그 경험을 통해서 새롭게 발견된 사실이 있습니까?

3) 그것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이 생겼다면 무엇입니까?

 
▣ 다이아그램

Before / After 설명

1) 코칭 전 : 삶이 반복되는, 현 생활에 만족하고 있는, 삶이 뻔히 예측되는

2) 코칭 후 : 흥미를 갖는, 사고가 확장된, 변화를 경험하는 왼쪽 파이: 교육적인 도구들,

 
A. Educational tools : 교육적인 도구들

: 새 영역을 이해하고 그것을 발견하게 해줌

1. Principles : 새로운 원리

“이것을 만족시킬 수 있는 원리가 있다면 어떤 것이겠습니까?”

2. Concepts : 새로운 개념

     “만일 그것을 ~한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어떨 것 같습니까?”

3. Models : 새로운 모델

“따를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이 있다면 어떤 것입니까?”

“어떤 모델을 따르면 효과가 가장 좋겠습니까?”

“어떤 모델이면 원하는 것을 가장 잘 이룰 수 있겠습니까?”

▶ 원리를 살펴보고, 개념을 살펴보고, 모델을 살펴보면 새 영역이 발견 될 수 있다.

 
B. Discovery tools : 발견을 위한 도구들

: 새 영역과의 관계를 평가하게 해줌

1. Assessments : 평가

    “어떤 기준이면 만족하겠습니까?”

    “새로운 기준을 세운다면 어떤 모습이겠습니까?”

    “소비자의 입장에서 평가해본다면 어떤 기준이 되어야 소비자들이 만족하겠습니까?”

    “~한 관점에서 평가해본다면, 어떤 것이 있어야 성공할 수 있겠습니까?”

2. Exercises : 실습

: 새로운 것을 실제로 시도해봄, 여기서 새로운 영역으로 들어갈 부분을 찾을 수 있다.

3. Questions : 질문

: 질문을 던져봄으로써 새로운 영역을 발견할 수 있다.

▶ 평가하고, 실습해보고, 질문을 던져보는 과정에서 새 영역이 발견될 수 있다.

 
C. Awareness-building tools : 인식을 확장시키는 도구

: 새 영역으로 들어갈 기회를 잡도록 해줌

1. Distinctions : 구별

“서로 간에 차이점이 있다면 어떤 것입니까?”

“이것만이 가진 독특함이 있다면 어떤 것입니까?”

2. Strategies : 전략 개발

“생각할 수 있는 다른 대안은 어떤 것입니까?”

“그것을 이룰 수 있는 전략이 있다면 어떤 것입니까?”

3. Segues : 의미 있는 지속

“계속해서 그것을 유지하기 위해 할 수 있는 것이 있다면 어떤 것입니까?”

▶ 이런 과정을 통해 새 영역으로 들어갈 기회를 잡게 해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