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윤리적 원리의 이해

1) 공리주의적 접근

-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 행위 판단의 기준

- 전통적인 공리 주의는 특정 행위의 공리성을 통해 행위의 도덕성 여부를 판단하는 행동 공리주의

- 현대 공리주의는 행동의 경향성. 행위가 일반화 되어 사회에서 규칙화될 때 나타나는 규칙의 공리성을 따지는 규칙공리주의

- 그러나 규칙공리주의가 행동공리주의보다 더 발전된 개념이라 할 수 없음. 각각의 공리주의가 적용되는 상황이 다르기 때문

- 일회적인 성격을 지닌 사건은 행동 공리주의 

- 반복적이거나 또는 사회적 파장이 큰 사건은 규칙 공리주의


2) 의무론적 접근

- 의무론적 윤리학 : 자신이나 타인에게 유리한가, 불리한가를 따지는 것은 윤리적 판단이 아니고, 오직 의무만을 다하겠다는 순수한 동기에 도덕성이 있다.

- 도덕률 : 육체를 포함해 물질을 지배하는 자연의 법칙처럼 보편성과 필연성을 지니는 것

- 격률 : 개인의 주관적인 실천원리

- '네 의지와 준칙이 항상 동시에 보편적 입법의 원리가 되도록 행위하라(Kant, 1981)'

- 모든 사람이 인정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법칙이 되도록 행위하라는 것

- '너 자신을 포함한 모든 인격에 대하여 인간을 단순히 수단으로 이용하지 말고 항상 목적으로 대우하라 (Kant,1981)'

- 어떤 사람의 행위를 도덕적으로 판단하는 경우

   첫째, 그 사람의 행위동기, 즉 준칙이 무엇인지를 추측하라

   둘째, 그 준칙이 보편성을 지니고 있는지 또는 인격성을 항상 수단이 아닌 목적으로 대우하고 있는지를 보아라.


[간단 요약]

- 목적론적 윤리체계 : 행위는 그것이 좋은 결과를 가져온다면 옳다.

- 의무론적 윤리체계 : 결과와 상관없이 행동의 도덕성을 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