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02. 대화(영화-뜨거운 양철 지붕 위의 고양이)
# 영화 줄거리는 영상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현재
친구와 약속을 할 때를 생각해보자. 카페에서 만나서 인사를 하고 안부를 묻는다.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누다가, 서로 핸드폰을 확인한다. 스마트폰용 게임을 하기도 하다가 또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누고 사진도 찍는다.
흔하게 볼 수 있는 장면이다. 친구와의 약속에서는 주로 저런 식의 대화를 이어간다 . (모두가 그렇지는 않겠지만) 예전에 한 친구는 사람과 만날 때는 그 사람과의 대화에 집중하기 위해 폰을 꺼두거나 가방에 넣어두기도 했다. 요즘엔 그런 친구가 극히 드문 것 같다.
소개팅을 예로 들어보면 그나마 상황은 낫다. 마음에 드는 상대를 만났을 때는 어떻게든 즐거운 대화를 위해 상대에게 집중하고 노력한다. 그 시간 만큼은 둘만의 시간으로 만드는 것이다.
고전 영화
고전 영화를 보면 한 장면이 굉장히 길다. 그래서 고전 영화를 처음 보면 요즘과 비교해서 어찌보면 지루할 수도 있다. 두 명이 대화하는 장면이 10~15분을 잡아먹기 때문이다. 근데 그 모습이 요즘에는 보기 드문 장면이다보니 새롭게 보이기도 한다. 대화 내용 또한 가볍지 않다. 고전 영화인 만큼 대사 자체가 내면의 감정을 표현하거나 깊이감이 있다. 비교하자면 대한민국 8~90년대 대중가요의 가사 비슷하달까? 김광석 씨의 노래가 울림이 큰 가사로 많이 알려져 있는데 고전 영화가 그런 느낌이다. 한 공간에서 배우들의 연기 만으로 영화가 진행되다보니 배우의 감정과 대사 하나하나에 몰입하게 된다. 그 대사 내용도 깊이 생각해 볼 만큼 깊이가 있다.
영화가 그 시대의 시대상을 반영한다는 점을 볼 때 고전 영화를 상영했던 그 시절엔 다른 장애물 없이 오롯이 대화에 집중하고 이야기 하지 않았을까 라는 생각이 든다.
왜 그럴까?
아무래도 방해물이 많아진 것 같다. 그 중에 대장이 스마트폰. 대화에 집중하지 못하고 인터넷과 다른 사람과 카톡을 하는 일이 비일비재 하다. 스마트폰이 방해물이긴 하지만 다른 요인으로는 타인을 만날 때 대화하는 것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이다. 어릴 적부터 스마트폰과 전자 디바이스와 노는 습관이 들어서 그럴 수도 있고, 출산률이 낮아져 외동으로 자란 사람이 많아서 그럴 수도 있고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다. 이유야 어찌 됐든 현대인들이 타인과 만나서 둘만의 시간을 보내고 대화를 보내는 것에 있어 자연스럽지 않다는 느낌은 지울 수 없다.
고전영화를 보며 이런 생각이 문득 스쳐 지나간다.
나는 누군가와 만날 때 그 시간을 오롯이 그 사람에게 쓰고 있었나?
나란 사람의 통합
게슈탈트 상담 이론(클릭) 중에는 미해결된 과제라는 용어가 있다. 내 안에 해결되지 않은 감정이 있다면 심리적인 문제로 나타난다는 말이다. 뜨거운 양철 지붕 위의 고양이라는 영화에서는 이와 관련된 내용이 있다.
브릭의 아버지는 자신의 아버지가 부랑자였고 남긴 유산이라고는 스페인 전쟁때 입은 군복 뿐이었다며 아버지를 비난했다. 하지만 둘때 아들과 대화를 하면서 부랑자 아버지는 자신을 아껴줬고 자신도 아버지를 사랑했다는 것을 깨닫는다. 그리고 아버지가 남겨주신 건 군복 뿐 아니라 추억도 남겨줬음을 알게 된다. 그 것을 통해 브릭의 아버지는 내적 통찰을 얻는다.
브릭도 마찬가지다. 스키퍼가 좌절감에 브릭에게 전화했을 때 브릭은 냉정하게 전화를 끊어버렸다. 그 충격에 스키퍼는 자살 했지만 브릭은 자신이 자살의 원인임을 수용할 수 없었다. 그래서 자신의 아내 메기에게 책임을 떠넘기고, 자신은 알콜 중독에 빠졌다. 하지만 아버지와의 대화를 통해 자신의 행동을 실토하고 죄책감으로 술을 먹었음을 인정하게 된다. 그렇게 자신의 감정을 표출하여 통합을 이루고 내적 통찰을 얻게 된다.
내 안에 해결되지 않은 감정이 남아있다면 그 것은 괴로움으로 쌓여간다. 모든 감정을 수용하고 인정 했을 때 비로소 마음의 평안을 얻고 나를 오롯이 느낄 수 있다.
이런 생각이 문득 스쳐 지나간다.
나도 몰랐던 미해결된 과제가 있지 않을까?
[방송보기]
# 나누고 싶은 사연이 있다면 miyakekgy@hanmail.net으로 보내주세요^^
'창고 > 아무개의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쉬는 것도 연습이 필요하지요 (0) | 2017.07.29 |
---|---|
신입사원이 막막함에 대처하는 방법 (0) | 2017.06.06 |
E03.나는 왜 계속해서 나쁜 남자만 꼬일까? (0) | 2017.05.27 |
E01. 선택과 후회 (0) | 2017.05.06 |
낙태와 출산에 대한 윤리적 관점 (0) | 2017.04.09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신입사원이 막막함에 대처하는 방법
신입사원이 막막함에 대처하는 방법
2017.06.06우리가 취업을 준비할 때는모두 엄청난 열정을 가지고 있어요.취업만 하면 진짜 열심해서업계 최고의 전문가가 되리라는 꿈도 있죠. 치열한 경쟁을 뚫고, 취업을 하면적지 않은 신입사원들이 멘붕에 빠집니다. 왜냐고요?답이 없거든요. 학교에서는 교과서나 교안이라도 있었는데 말이죠.회사에는 전혀 없어요.운 나쁘면 인수인계도 못받았는데당장 일 처리하라는 일도 생기고…환장하는거죠. 이걸 좀 어떻게 해결을 하면 마음이 편할거 같은데…제가 매번 얘기하는 공교육 문제를 또 얘기하면서어린 시절로 가면 골아프니깐대학생 시절 이야기를 해볼께요. 대학생때 조발표나 공모전, 취준생 때 포트폴리오 같은걸 보면공통점이 하나 있어요.많은 대학생들이 참신한 아이디어에목을 메고 있다는 거예요. 남들이 하지 않은 특이한 프로모션이나 이벤트… -
E03.나는 왜 계속해서 나쁜 남자만 꼬일까?
E03.나는 왜 계속해서 나쁜 남자만 꼬일까?
2017.05.27나쁜 남자(여자)를 만나는 사람은 희한하게 계속 나쁜 남자(여자)만 계속 만나게 된다.왜 그럴까? 혹자는 팔자라고 한다. 근데 팔자라고 하기엔 너무 모호하다. 분명 뭔가 이유가 있을 거 같다. 인간은 복잡한 동물이기에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한가지 이유를 생각해보고자 한다. 구조 간단하게 구조화 해보면 우리의 겉 모습은 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가면(페르소나)으로 이루어져 있다. 페르소나 안쪽에는 내가 의식적으로 알고 이는 나의 자아가 있고, 그 안에 내가 의식하지 못하는 무의식이 있다. 그리고 무의식에는 아니마와 아니무스라는 것이 있다. ※ 아니마와 아니무스 생물학적으로 남성과 여성으로 나뉘였지만 남성의 안을 들여다보면 남성성도 있고 여성성도 있다. 여성도 마찬가지다. 심리학 용어로 남성 속의 여성성을 아… -
E01. 선택과 후회
E01. 선택과 후회
2017.05.06우리는 살면서 많은 선택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많은 후회도 하게 됩니다. 이렇게 우리 삶에 깊게 스며들어 있는 선택과 후회에 대해 생각을 해보려고 합니다. # 17 어게인이라는 영화에 대해서는 별도로 언급하지는 않겠습니다. 영상을 통해 간략한 줄거리를 확인하시거나, 영화를 보시면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후회 우리는 언제 후회를 하게 될까요? 아마도 후회라는 감정은 현재에 기반을 한 것 같습니다. 현재 일어난 결과에 대한 감정이 좋지 않았을 때 과거에 대한 후회가 일어나는 것이기 때문이죠. 예를 들어볼까요? 행사 이벤트에 당첨되어 A박스와 B박스 중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A박스는 노란색이고 B박스는 검정색이다. 나는 원래 밝은 색을 좋아했고, A라는 알파벳이 마음에 들어서 A박스를 선택했다…. -
낙태와 출산에 대한 윤리적 관점
낙태와 출산에 대한 윤리적 관점
2017.04.09CASE 대학교 4학년 여학생이 캠퍼스 커플 남학생의 아이를 임신하게 되었다. 그런데 이 여학생이 낙태를 고민하면서 당신에게 상담을 요청해 온다. 당신은 학생의 자기결정권에 따라 낙태를 도울 것인가? 아니면 낙태는 살인이므로 출산을 권해야 할 것인가? 우리는 종종 가치판단의 문제에 있어 선택의 기로에 놓이게 된다.위 사례는 주변에서 흔히 일어날 수 있는 일이다. 당장 당신 주변에 이런 일이 일어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윤리적 관점에서 생각해보면 공리주의적 관점과 의무론적 관점으로 나누어 생각을 해볼 수 있다. >> 강선생의 대도서관 : 공리주의적 관점과 의무론적 관점 자세히 보기(클릭) 공리주의적 관점으로 생각하기 행동 공리주의적 관점에서는 여학생의 임신과 출산으로 인해 충격을 받게 될 가족들을 고려 …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