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잘 맞고, 잘 통한다는 건 무엇일까? 

단지 궁합이 잘 맞는다고만 퉁치기엔 우리 삶에 너무 중요한 요소이기에 그 요소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사람과 사람이 잘 통하려면 3가지가 필요하다. 이 3가지는 의식에서 순식간에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1.

우선 맨 끝 단계는 공감이다. 

[ ? ]→[ ? ]→[ ? ]→[공감]→통한다 

대화 과정에서 공감까지 가야 서로 진정성을 공유하고, 통한다고 느낄 수 있다. 물론 공감 이후에 기대한 만큼 행동하는 건 별개의 문제지만 말이다. 공감은 같은 경험을 공유한 것에서 주로 발생한다. 하지만 같은 경험을 공유해도 유사한 감정을 느끼지 못하면 공감은 일어나지 않는다. 반대로 유사 경험만 가지고도 공감 할 수도 있으며, 전혀 경험하지 못했더라도 상대방의 감정 자체를 존중하며 공감을 위해 노력할 수도 있다. 심리상담가들이 하는 방식이 후자라고 볼 수 있다. 어찌됐건 같은 경험에 유사한 감정을 느꼈을 때 무엇보다 빠르게 공감이 이루어지는 건 확실하다.

 

2.

공감이 발생하기 위해선 해당 감정이 발생한 것에 대한 이해와 인정이 필요하다.

[ ? ]→[이해]→[인정]→[공감]→통한다 

과정이나 사건의 해석이 인정(납득)이 되면 공감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인정(납득)이 되야 연결된 유사한 감정을 본인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인정이 이루어지려면 상황에 대한 이해가 전제 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해가 되려면 2가지가 필요하다. 첫 번째는 명료한 전달이고, 두 번째는 신념이다. 명료한 전달은 말 그대로 이해하기 쉽게 제대로 명확하게 말해줘야 한다는 것이다. 

 

3.

이해가 되려면 신념이 같은 방향이어야 한다.

[신념]→[이해]→[인정]→[공감]→통한다 

신념라는 건 가치관 같은 요소라고 볼 수 있다. 신념이 맞지 않다는 건 일자 나사에 십자 드라이버를 우겨 넣는 것과 비슷하다. 예를 들어 사람에 대한 철학이 '역량은 타고나는 것'이라는 사람과 '역량은 성장시킬 수 있는 것'이라는 사람 간에는 큰 차이가 존재한다. 전자는 우수 인재를 채용하는 것에 집중할 것이고, 후자는 교육과 코칭에 집중할 것이다. 현실적으로 선택과 집중을 해야하는 상황이 많은데 신념의 차이가 있다면 조율이 매우 힘들어진다. 종교인/비종교인의 차이도 마찬가지이며, 정치 성향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잘 통한다'의 가장 큰 요소는 신념이 맞느냐 안 맞느냐라고 볼 수 있다.

 

4.

추가적으로 '사람은 변하지 않는다'와 '사람은 변할 수 있다'에 대한 논쟁도 신념을 기준으로 이야기할 수 있다.

신념은 맞지만 구현하는 방법/표현/방식에 차이가 있다면 논의를 통해 맞춰갈 있고 변할 있다. 하지만 신념 자체가 맞는다면 방법/표현/방식이 동일해도 결국 파국으로 치닫게 가능성이 높고, 절대 변할 없다. 그러니 신념이 맞지 않는 사람과 통하려고 노력하거나, 상대방 혹은 나를 바꾸려고 노력할 필요는 전혀 없다. 그냥 다른 상태로 각자 살아가면 된다.

반응형